반응형
시티홀을 보고 있으면 대사가 참 감질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치열한 수목드라마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이유 중 대사도 한몫하지 않았나 싶다. 드라마의 참 맛은 배우의 연기도 있지만, 작가의 대사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티홀에는 어록이 될만한 대사가 많이 쏟아져 나오는데, 바로 이런 알찬 대사들이 드라마에 재미를 더 해주는 것 같다.



어제 내용의 재미있는 대사들을 적어보았다.




"알바야, 물론 언니가 언행이 심히 방정하여 알흠다운 롤모델이긴 하지. 그렇다고 마빡에 어혈도 안 풀린게"

"(전화벨이 울리자) 그럼요, 바람처럼 왔다가 이슬처럼 갈 순 없죠. 받아요, 조용필씨 목 다 쉬겠네."

"나 다시 복직시켜. 나 꽤 괜찮은 공무원이었어. 국가에 헌신과 충성을, 국민에게 정직과 봉사를, 직무에 창의와 책임을, 직장에 경애와 신의를, 생활에 청렴과 질서를, 나 그거 다 지켜려고 노력했고, 열심히 지켰어"

"진정한 공무원은 국가를 위해서가 아닌 국민을 위해서 일하는 사람이다. ... 정치요? 그까짓게 뭔데요? 못 사는 사람 잘 살게, 잘 사는 사람은 좀 배풀게 그렇게 하면 되는거 잖아요."


이런 대사를 차승원과 김선아가 소화를 하니 더 맛깔스런 대사가 나오는 것 같다. 정치 드라마이니 만큼 코믹한 대사 뿐만 아니라 정치에 관한 대사도 많이 나온다. 정치에 대한 대사가 다른 드라마와 다르게 마음에 다가오는 이유는 아마도 그 안에 진리와 풍자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공무원'하면 떠오르는 것이 무엇일까? 나에겐 무능함, 관료적,  수동적,무기력, 귀찮음, 불친절, 비리, 칼퇴근, 거만함, 타협적, 비생산, 권위의식, 잘난척, 철밥통... 이런 단어들이 떠오른다. 하지만 시티홀을 보면서 공무원이 그런 것이 아니라는 것으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공무원은 국가에 헌신과 충성을 하고, 국민에게 정직과 봉사를, 직무에 창의와 책임을 직장에 경애와 신의를 생활에 청렴과 질서를 지키는 사람들인데 말이다. 능력, 자유, 능동, 창의, 적극적, 친절, 청렴같은 단어가 떠올라야 하는 직업인데 지금까지 잘못 알고 있었던 것 같다.

또한 정치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시티홀에서는 못 사는 사람을 잘 살게, 잘 사는 사람은 좀 배풀게 하는 것이라 하였는데, 내가 알던 정치와는 완전히 반대였다. 지금의 정치는 어떠한가? 잘 사는 사람을 잘 살게, 못 사는 사람은 좀 더 세금 내게 하는 것이 정치가 아닌가? 빈부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강남에 통행료를 내게 하려는 법이나 만들려 하는... 남자이야기에서의 채도우같이 서민을 벌레로 여기고 그들만의 왕궁을 만들려는 사이코패스들이 하는 것이 정치라 생각했는데, 시티홀에서의 정치는 정말 알고 싶고, 참여하고 싶은 정치였다.


시티홀이 재미있는 이유는 바로 이런 대사 속에 들어있는 뼈 있는 말들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후련하게 해 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특히 인터넷까지 장악한 요즘같이 시국이 혼란스러울 때에 드라마를 통해 느끼게 되는 생각들은 다시금 정신을 차리게 만들어준다.

시터홀의 또 다른 언어유희는 각 인물의 이름에 있다. 신미래, 민주화, 조국, 정부미, 민유감, 김실천, 박전진같은 캐릭터를 그대로 나타내는 이름들은 새로운 시청자들도 쉽게 캐릭터를 파악할 수 있게 만들어 드라마에 쉽게 빠져들게 만들기도 한다.

드라마에서는 신미래가 시장이 되지만, 신미래가 시장에 당선되는 일은 새로운 미래에나 가능한 일일 것이다. 지금은 물러난 인주시장이 있는 썪어빠진 시청같지만, 새로운 미래에는 신미래와 같은 시장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남자 이야기의 명도시장같은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지만, 그런 사람들은 드라마에서 같이 결국 죽게 되는 것 같다. 드라마를 통해 씁쓸한 현실을 투영해보니 더 속상하고 안타깝다. 하지만 곧 우리에게도 신미래가 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져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