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주 결방 후 무한도전에서는 "끝까지 간다"라는 주제로 방송을 하였다. 무한도전의 전매특허인 추격전이 벌어지는 끝까지 간다는 탐욕의 끝을 보여주겠다고 한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니 지금의 우리에게 던져주는 시사점들이 있는 추격전이었다. 꿈보다 해몽일수도 있겠지만, 무한도전이 오랜만에 넌센스 퀴즈를 하나 던져준 듯한 느낌이다. 과연 어떤 시사점들이 있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연말정산 13월의 보너스


연말정산은 보통 13월의 보너스라고 한다. 그동안 일괄적으로 원천징수했던 내용들을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13월의 폭탄으로 돌아왔다. 많이 걷고 많이 돌려주겠다는 방식에서 덜 걷고 적게 돌려받는 방식을 선택했지만, 실제로 뚜껑을 열고보니 세금을 많이 걷어가게 되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환급은 커녕 돈을 토해내는 지경에 이르렀다. 





무한도전에서도 동일한 표현을 사용했다. 10주년을 맞이하여 특별상여급을 준다고 해 놓고 13월의 보너스라며 의문의 상자를 내놓는다.  이 상자는 추격전을 하는 매개체가 되며, 멤버들을 빚더미에 앉게 만들고 욕망에 사로잡히게 만드는 판도라의 상자이기도 하다. 마치 올해 벌어진 연말정산 폭탄을 연상시키는 장면이었다. 


갑을 관계


요즘 갑과 을의 신경전이 날로 대립되고 있다. 일명 갑질로 불리는 권력을 가진 자의 횡포는 을에게는 피눈물 나게 만든다. 땅콩 회항 사건, 백화점 모녀 사건, 최근에 알바몬 광고에 대한 것까지 각종 갑질들이 난무하는 가운데, 무한도전에서도 이에 대한 시사점을 남기었다. 




13월의 보너스를 주기 전에 계약서에 사인을 하게 만들었다. 멤버들은 별 의문없이 계약서에 사인을 해 버렸으나 그것은 갑의 장난이었을 뒤늦게 알게 된다. 지급기준을 "을"은 "갑"이 제시한 규칙에 따라 게임에 충실히 임한다는 애매한 조항을 만들었고, 뒷면에 그에 대한 방법을 서술함으로 이면계약서를 이면에 쓰는 진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 




상자 속의 상여급이 지급이 될 때 멤버들의 출연료에서 1/n으로 나누어 상여급 지급을 해 준다는 것 또한 뒤늦게 알아보았자 이미 때늦은 후회였고, 이들은 갑이 정해놓은 함정에 스스로 들어갈 수 밖에 없었다. 


열심히 일할수록 빚더미


끝까지 간다의 게임 규칙은 상자안에 상자가 있고, 상자를 열면 거기엔 상금이 있다. 그 상금은 나머지 멤버들에게서 1/n로 나누어 출연료에서 제하게 된다. 제로섬 게임이지만 갑만이 계속 돈을 버는 제로섬이다. 게임을 룰을 보면 상금은 다른 상자를 여는 순간 갱신이 된다. 하지만 빚은 누적된다. 상금 100만원을 획득한 정준하는 두번째 상자를 열었을 때 상금이 200만원으로 갱신이 되고, 대신 그 전에 받았던 상금 100만원은 마술처럼 불에 타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게임을 끝내는 방법은 두가지다. 하나는 마지막 상자가 개봉되는 경우이고 또 하나는 다섯명 모두가 게임 종료에 합의하면 된다. 하지만 마지막 상자가 열리는 순간 모든 상금은 날아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계산법이 복잡해지게 된다. 


처음에 정준하가 상자를 열었을 때 상금이 100만원이 있었다. 그래서 다른 멤버들에게 1/n을 하여 25만씩 각출을 하게 되었다. 만약 여기서 모두 합의하여 게임을 끝낸다면 제작진은 이득도 손해도 없다. 정준하를 설득하여 다시 25만원씩 돌려받으면 된다. 하지만 두번째 상자를 여는 순간 상황은 좀 달라진다. 200만원의 상금을 정준하가 가지게 되었고, 그 전에 받았던 100만원은 불에 타버렸다. 그리고 멤버들의 빚은 누적되어 75만원씩이 된다. 가상 시뮬레이션을 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상자 오픈>

상금 100만원

멤버 -25씩 빚 

제작진 이득도 손해도 없음 


<두번째 상자 오픈>

상금 200만원

멤버 75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3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100만원)


<세번째 상자 오픈>

상금 300만원

멤버 150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6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300만원)


<다섯번째 상자 오픈>

상금 400만원

멤버 250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10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600만원)


<여섯번째 상자 오픈>

상금 500만원

멤버 375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15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1000만원)


<일곱번째 상자 오픈>

상금 600만원

멤버 525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21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1500만원)


<여덟번째 상자 오픈>

상금 700만원

멤버 700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28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2100만원)


<아홉번째 상자 오픈>

상금 800만원

멤버 900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36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2800만원)


<열번째 상자 오픈>

상금 900만원

멤버 1125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45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3600만원)


<열한번째 상자 오픈>

상금 1000만원

멤버 1375만원씩 빚

제작진 출연료 5500만원 안줘도 됨 (제작진 이득 4500만원)


두번째 상자부터는 상자가 오픈이 되면 될수록 멤버들의 빚은 계속 많아지고, 제작진의 이득은 더욱 커진다. 열번째 상자를 오픈하는 순간 상금 900만원을 받는 사람은 누적 상금이 900만원이 되기 때문에 상금과 빚이 같아지는 시점이 된다. 그리고 열한번째 상자를 오픈하면 상금을 받아도 빚이 더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제작진은 그만큼 더 이득을 보게 된다. 무한도전 멤버들 출연료가 회당 오백만원에서 천만원 정도 된다고 했을 때 일곱번째 상자를 오픈하는 순간 오히려 돈을 내고 출연을 하게 되는 멤버가 발생하게 된다. 





끝까지 간다의 게임에서 갑과 을의 관계는 갑의 횡포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을이 열심히 일하고 경쟁할수록 계속 빚이 느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을끼리 경쟁할수록 빚은 계속 늘어나는 것이다. 턴이 계속될때마다 빚은 계속 더 쌓이게 된다. 이 게임을 멈추는 방법은 을이 단결하는 수 밖에 없다. 더 늦기 전에 한시라도 빨리 말이다. 첫번째 상자를 오픈하고 바로 동맹하여 게임을 종료시키면 가장 적은 피해를 입게 될테지만, 두번째 상자부터는 점처 헤어나올 수 없는 구렁텅이로 빠져들게 된다. 


돈은 돌고 돌지만 마술처럼 사라지는 일도 생긴다. 실제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이러한 것 같다. 치열한 경쟁 속에 살아가고 있고, 지금만큼 경쟁이 치열하고 일을 열심히 하는 시대도 없다. 아이들은 어린이집에 다닐 때부터 경쟁과 조기교육에 시달리며, 취업은 바늘구멍 들어가기 보다 더 힘들며, 직장에 들어가서도 평생 직장이라는 말이 사라질 정도로 더 치열한 경쟁을 하게 되고 일도 더 열심히 하게 된다. 그러나 그러면 그럴수록 빚더미에 앉게 되는 것이 이 시대의 현실이다. 




무한도전 끝까지 간다는 이런 현실을 게임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꿈보다 해몽이겠고, 예능을 그냥 예능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그냥 깔깔 웃으며 보기에는 현실이 웃퍼지는 것 같다. 나는 지금쯤 몇번째 상자를 열고 있을까? 상대방을 속이고, 또 속이며 상금을 얻으려 탐욕스런 모습까지 드러내지만 결국 남는 것은 무거운 빚 뿐. 그 빚을 덜기 위해서 더욱 피터지게 싸워야 하는 모습들... 다음 주에는 더욱 이성을 잃은 추격전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