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이의 검계를 보고 바로 떠오른 것은 추노의 업복이었습니다. 업복이가 가입되어 있는 노비당. 그것이 바로 검계가 아닌가 싶어 뒤져보았더니 이에 대해 같은 생각을 가진 파비님의 글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http://go.idomin.com/548) 파비님이 검계와 노비당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놓았는데, 요약을 해보면 검계는 조선 후기에 실제로 있었던 조직이고, 그 중 살주계라는 무리가 추노의 노비당과 비슷한 반양반운동을 했던 것으로 나타납니다.

Day 351/365 - Photographobia
Day 351/365 - Photographobia by Tiagø Ribeiro 저작자 표시

추노의 노비당은 양반의 머리에 총구멍을 내는 조직이었지만 아직 그 조직의 단위가 작고 막 시작하는 단계였다면, 동이의 검계는 꽤 성장하여 무술도 날렵하고 매우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완숙한 단계였지 않았나 싶습니다. 마치 추노의 노비당이 성장하여 동이의 검계가 된 듯이 말이죠.

요즘 사극에서 유난히 천민들의 반란이 눈에 띄는 군요. 천민들의 난. 그것은 역사 속에 아주 작은 글씨로 천민들을 파렴치한으로 몰며 나오지만, 실제로 사극을 통해 바라본 천민의 난은 우리의 모습과 실사 다를바 없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천민들은 누구인가?

Give me a chance...
Give me a chance... by Shavar Ross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천민들은 왜 난을 일으켰을까요? 천민으로서의 대접 때문이었겠죠. 천민이기 때문에 박해받고, 억울한 일을 당하고, 모든 죄를 뒤집어쓰고, 약하니 당하기만 하고, 욕먹고, 하루종일 일만하고, 교육의 기회가 박탈 당하고, 예쁜 옷조차 입어볼 기회도 없는 것이 바로 천민이죠. 천하디 천하기에 그 이름조차 천민이라 짓지 않았겠습니까?

천민이 있는 이유는 계급 제도 때문이었습니다. 양반이 있었기에 천민이 있는 것이었죠. 양반들이 자신의 우월함을 나타내기 위해 천민들을 천민으로 대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추노의 송태하는 세상을 바꾸려 하지만, 자신이 노비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생 신분이 다르다며 유별한 행동을 했었지만, 후에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노비였다는 것을 통해 깨닫게 되죠. 노비도, 양반도 없는 그런 세상을 만들기로 다짐합니다.

천민과 닮은 노동자

Malta - Euros (Coins)
Malta - Euros (Coins) by marfis75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은 곧 돈이고, 돈은 곧 삶의 풍요로움을 측정하는 도구가 되어버렸습니다. 노동자는 일을 하고, 돈을 벌고, 그 돈으로 삶을 살아갑니다. 돈이 많은 사람은 양반이 되고, 돈이 적은 사람은 노비가, 천민이 됩니다.

박해받고, 억울한 일을 당하고, 죄를 뒤집어 쓰고, 욕먹고, 하루종일 일만하고, 돈 때문에 교육의 기회가 박탈 당하고, 예쁜 옷조차 입어볼 기회도 없는 것.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야기 아닙니까? 혹시 우리들의 이야기는 아닐런지요. 군대에서는 이등병이 주로 당하는 일들이고, 사회에 나와서는 돈이 없을 때 받는 설움과 똑같습니다.

반대로 양반도 존재하죠. 양반은 자신이 우월하다고 생각합니다. 천민과는 출생성분 자체가 다르다고 생각하죠.주위에 그런 분들이 있지 않나요? 박해하고, 억울한 일을 뒤집에 씌우고, 욕하고, 하루종일 일을 시키는 무리들 말이죠.

재미있는 점은 추노나 동이에서 나왔듯 양반들은 자신들만의 언어를 사용합니다. 양반 언어가 존재하는 것이죠. 실상 뜯어보면 별 말 아닌데, 괜히 한자를 들먹이며 유식한 척 합니다. 우리나라의 상류층 사람들은 그들만이 쓰는 언어가 있다고 합니다. 분명 한국어인데 그들만이 사용하는 언어가 있다고 하더군요. 사기꾼들은 그런 언어를 배우고 익혀서 상류층 그룹에 들어가 사기를 치고 나온다고 합니다.

천민들의 난

Speak up for Peace
Speak up for Peace by eqqman 저작자 표시비영리

권력의 횡포가 심해질때마다 난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예전에 아테네에서 부유한 아테네인들과 친분관계를 맺었던 법률가 드레이코는 사소한 도둑질이니 게으름에도 사형을 선고했다고 합니다. 요즘에도 비인간적인 법률을 제정하는 권력자들을 묘사할 때 드레이코라는 이름을 사용하죠. 그 후 혁명의 분위기가 일어나고 솔론이 나와 아테네인들을 구했습니다. 개인의 빚을 모두 청산해주고, 정치범들도 모두 석방해주죠. 물론 드레이코가 정한 법도 모두 무효화시킵니다.

추노에서 노비당이 양반들의 머리에 총구멍을 내고, 천민이 왕이 되는 세상을 꿈꾸었고, 동이에서 검계 또한 권력을 남용하려는 세력을 잡기 위해 조직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사극들은 우리 사회의 현실을 투영하고 있는 듯 합니다. 이 세상에 수많은 드레이코같은 사람들이 권력을 남용하여 배부르게 떵떵거리며 살아갈 때 수많은 사람들은 처음엔 노비당처럼 모이고, 후에는 검계가 되어 세상을 뒤집으려 시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추노가 곧 끝나고 동이가 시작해 사극에 힘을 불어넣고 있는 요즘, 동이가 월화드라마를 석권할 기미를 보입니다. 그리고 사극을 통해 역사가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 잘 반영하고 생각해본다면 바보상자라 불리는 TV속에서 메시지와 가치를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