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BS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이는 마치 패떴 초기 모습을 보는 듯 하다. 패떴이 일요일밤 최하위가 된 것은 매우 충격적이다. 하지만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만연 꼴찌였던 SBS가 승부수를 낸 것은 독점 중계인데 이는 악수 중 악수가 아닌가 싶다. 얼마나 힘들었으면 그랬을까도 싶지만, 더 나은 방법도 얼마든지 있다. KBS나 MBC는 약간 공무원 스타일이라고 한다. 반면 SBS는 기업이기에 그 안의 구조는 매우 타이트하고 힘들다고 한다. 기업 구조가 가져온 폐해는 분명하다. 기업은 그 안에선 절대로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큰 기업일수록 내부 의사결정 구조가 복잡하고, 복잡할수록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우선 SBS는 방송, 연예 블로거들에게 저작권을 행사하였다. 그리고 방송, 연예 블로거들은 SBS의 글을 쓰기 꺼려하고 있다. 블로그를 미디어라고도 한다. 미디어적인 영향력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SBS가 느끼기엔 그저 귀찮고 입을 틀어막고 싶은 대상일 뿐이다. 그렇기에 법무팀을 가동하여 온 블로거들을 범법자 취급하고 있다. 블로거들은 곧 시청자이다. 시청자들에게 영향력을 끼치고 있고, 방송국에게는 타깃으로 잡아야 하는 네트워크 허브이다. 그런데 그 네트워크 허브를 다 안티로 만들어버렸으니 SBS 방송은 바이럴을 타기 힘들어졌다.


SBS에 대한 글은 트위터에서도 열풍이다. SBS에 관한 글을 쓰면 RT가 200개가 넘게 나온다. RT 200개의 의미가 무엇인 줄 아는가? 나를 팔로워하는 트위터 친구분들이 1400여명 된다. 우선 1400명이 그 글을 본다. 그리고 1400명 중 RT를 해 준 200분마다 각자 팔로워가 있다. 그들에게 팔로워가 1000명씩만 있다해도 200,000명이 더 보았다는 것이다. 200,000명 중에 또 RT를 하였다면...기하급수적으로 트위터는 정보를 전달한다. 트위터를 후끈 달아오르게 만든 SBS는 제대로 된 공식 트위터 조차 없었다.(SBS 공식 트위터가 있나요?)  트위터를 통해 해명을 하고 있긴 하지만 대응이 너무 느렸다. MBC가 열심히 트위터하여 멋진 소통을 하고 있는 것과 너무 비교가 된다.

월드컵에 대한 이슈는 더욱 크다. 자꾸 법적으로 몰고 갈수록 SBS는 수세로 몰릴 것이다. 패떴이 그러했다. 패떴은 멋진 포맷을 가지고 시작했다. 고공 시청률에 다른 프로그램들이 시간대를 옮길 정도였으니 말이다. 하지만 점점 가면 갈수록 귀를 닫기 시작했다. 시청자의 원성에 오히려 맞받아치며 패떴은 원래 예능이 아닌 시트콤이라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를 해대었다. 결국 패떴2까지 가면서 추락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패떴의 위기를 경고한 수많은 사람들의 의견은 무시한체 만들면 닥치고 무조건 보라는 식의 폐쇄적인 대응은 결국 고립되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 모든 위기의 징조를 뒤엎을 대책이 딱 하나 있다. 바로 소통과 개방이다. 방송 캡쳐 허용하고, 블로거들과 이야기하려 노력해보자. 패떴이 왜 그런 고집을 피우고 있는지 제작진과의 만남을 만들어주자. 월드컵은 왜 독점이 될 수 밖에 없었는지 블로거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오해가 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이야기하자. KBS와 MBC가 SBS를 위기로 몰고 있는 점이 있다면 그 점도 이야기하자. 트위터를 하고 공식 블로그를 운영하고, 시청자들과의 만남을 종용하고, 프로그램 내에도 시청자와 함께하는 패떴을 만들면 분위기는 반전된다. 법적으로 긴 공방을 하고 이미지만 수전노처럼 되는 것도 소통과 개방이면 모두 커버할 수 있다.

소통의 의지는 없으면서 자신들을 이해해달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민심을 잃어가고 있는 SBS. 민심은 곧 시청률이다. 월드컵 때 어쩔 수 없이 SBS를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생각은 위기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당장엔 어쩔 수 없이 SBS만을 봐서 시청률을 끌어올릴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어떤 식으로든 시청자의 마음은 이미 돌아서 있기에 다른 대책을 강구해낼 것이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이제라도 소통에 대한 의지를 내 보여야 할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