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나오고 있다.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어 각 분야에서 서바이벌을 접목시키고 있다. 그러나 제대로 성과를 내고 있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다. 슈퍼스타K2 외에는 이렇다할 성과를 못 내고 있다. 슈퍼스타K 또한 시즌1 때는 큰 이슈를 끌지 못하였고, 시즌 3는 뚜껑이 열려보아야 할 듯 싶지만, 현재로서는 다양한 오디션 프로그램과의 중복되는 응모자로 인해 시즌2와 같은 성과를 올리긴 쉽지 않을 것 같다. 

기적의 오디션은 연기자를 위한 오디션 프로그램이지만, 큰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고, 키스앤크라이 또한 피겨스케이트에 대한 이슈를 끌어내려 김연아까지 나섰지만 큰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위대한 탄생은 슈퍼스타K와 차별화를 하기 위해 애를 썼으나 시즌2에서 응모자가 너무 적어서 또 다시 애를 먹고 있다. 탑밴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레전드급 심사위원이 나오고, 정말 잘하는 밴드들이 나오지만 대중적인 관심은 끌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관심이 있어하는 프로그램은 나는 가수다이지만, 나는 가수다 역시 시청률은 높게 나오지 않고 이슈만 양산해내고 있다. 코리아 갓 텔런트 역시 원조라는 타이틀만 가지고 있지 아무런 흥미로움을 가져오지 못했으며 오히려 스타킹의 케이블 버전같은 느낌만 났다. 댄싱 위드 더 스타도 원조를 내세우지만, 아무런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도대체 이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왜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그 해답은 리얼 버라이어티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시청자와 소통없는 오디션 프로그램.



현재 난립하고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은 트렌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트랜드 전에 비슷한 양상의 트랜드가 존재했었다. 오디션 프로그램 이전에 예능에 불고 있던 트랜드는 리얼 버라이어티였다. 무한도전, 1박 2일을 필두로 하여 패밀리가 떴다, 런닝맨, 무한걸스 등 다양한 리얼 버라이어티가 시도되었고, 사라져갔다. 그 중에 살아남은 성공한 리얼 버라이어티는 무한도전과 1박 2일 밖에 없다고 본다. 

리얼 버라이어티의 핵심 키워드는 "소통"이었다. 단순한 정보 제공의 한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시청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장 잘 하는 프로그램만이 살아남았다. 시청자들은 이제 참여하고 함께 만들어가는데에 익숙해져 있고, 그곳에서 가치를 찾게 되었다. 무한도전은 시청자와 친구처럼 다양한 소통을 시도하고 있고, 시청자를 대신하여 현재 시국을 비판하기도 하고, 사소한 즐거움을 찾기도 하고, 감동을 주기도 하고, 사회 공헌에 이바지하고 있다. 무한도전팬이 무한도전을 본다는 것은 단순한 오락 프로그램을 보며 연예인들의 농담 따먹기나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을 하고, 함께 세상에 이바지하며 메시지를 공유하는 것이다. 1박 2일 또한 그 시작은 무한도전이었지만, 완벽한 차별화를 시도했고, 무한도전의 성공 키워드인 소통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굳은 심지로 밀어붙였다. 시청자를 아예 방송 안으로 끌어들여 시청자 투어를 시도했고, 이제는 1박 2일만의 고유 코너가 되었다. 이번에 시청자 투어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많은 지원자가 있었다고 하니 나는 가수다가 1박 2일을 절대로 넘지 못하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을 것이다.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슈퍼스타K2의 성공의 절반은 소셜 네트워크였다. 케이블이라는 한계가 있었지만 2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올리며 공중파에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 슈퍼스타K의 성공은 내 친구가 나온 듯한 느낌을 주면서 소셜 네트워크를 적절하게 잘 활용했다는데에 있었다. 오디션 프로그램은 일반인이 나와서 자신의 스토리를 만들어가기에 좀 더 적극적으로 시청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의 포맷이었다. 홍보 또한 따로 하지 않았는데도 소셜 네트워크에서 저절로 퍼져나갔다. 트위터에서 방송 시간에는 온통 슈퍼스타K 이야기로만 가득했을 정도니 소셜에서의 인기는 대단했다.. 

하지만 그 이후 나온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소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했다. 적어도 시청자가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두어야 하는데 심사위원을 시청자로 두는 것에서 시청자가 참여할 수 있는 수준을 낮춰놓았다. 시청자가 만들어가는 프로그램이 되어야 성공할 수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에 기존의 방송처럼 만들어놓고 보고 싶으면 보라는 식의 컨셉을 적용시키니 시청자들이 외면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오히려 어른들을 공략한 스타킹이 훨씬 더 높은 시청률이 나오고 있다. 프로그램 포맷의 타켓은 젊은 층인데, 운영 방식은 장년층이니 젊은 층과 장년층 모두에게 외면받을 수 밖에 없었다. 

소셜을 적극 활용하라. 



오디션 프로그램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 그 영향력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 곳은 없다. 또한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격 상 길게 늘어지면 소재가 진부해진다는 치명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시즌으로 끊어서 가려 해도 너무 많은 프로그램들이 난립하고 있기에 중복되는 참여자가 더 많아질 수 밖에 없다. 정말 소질과 재능이 있는 일반인은 대부분 소속사의 연습생으로 있고, 딱히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으로 성공한 케이스도 없기에 점점 가면 갈수록 퀄러티는 떨어지게 될 것이다. 

오디션 프로그램은 진흙 속의 진주를 찾아내는 작업이다. 단순히 잘하는 차원을 넘어서 그 안에 스토리가 가미되어 오디션 프로그램의 우승자는 실력을 인정받음과 동시에 스토리를 지녀 하나의 캐릭터가 생성되어 연예인의 수준까지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일반인에서 신데렐라로 완벽한 변신을 하는 것이다. 연예인이 되기 위해선 대중의 사랑과 인기를 얻어야 하듯, 이 과정에서 대중의 공감을 받고 인정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작업일 것이다. 따라서 오디션 프로그램에 시청자들의 참여는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위대한 탄생 시즌2와 슈퍼스타K 시즌3가 시작된다. 시작은 슈퍼스타K3의 승리이지만, 워낙 CJ E&M의 마케팅이나 홍보의 마인드가 별로이고, 소셜을 개떡으로 취급하고 있으니 위대한 탄생이 소셜에 좀 더 관심을 두고 시청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고려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본다. (CJ E&M의 거지같은 행태에 대해서는 따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시청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은 순서의 문제인 것 같다. 나는 가수다를 보면 그 의미가 좀 더 명확해질 것 같다. 나는 가수다의 음원은 현재 모든 음원 차트를 휩쓸고 있으며 가수, 방송사, 소속사 모두 윈-윈하는 시스템이 되었다. 그러나 나는 가수다가 처음부터 음원 수익을 노리고 달려들었다면 지금과 같은 결과는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최고의 무대를 만들었고, 시청자가 객관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여 당위성과 인정을 받았다. 그리고 가수들은 서바이벌 형식을 통해서 혼신의 힘을 쏟게 만들었으니 그 진정성을 느끼고 음원을 듣고 싶어서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 솔직히 신정수PD가 조금만 더 신경쓴다면 나는 가수다는 무한도전과 같은 브랜딩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집으로 최고의 컨셉과 최고의 가수, 최고의 열정이 묻어날 수 있는 무대를 만든 후 그 특집에서 나오는 모든 음원 수익을 꼭 필요한 곳에 투명하게 기부하고 그곳에 찾아가 가수들이 봉사하는 모습같은 것을 내보낸다면 쌀집아저씨가 세워놓은 명분을 다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소셜은 시청자의 퀄러티 있는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최고의 공간이다. 이 공간을 소중히 여기는 곳이 오디션 프로그램을 성공시킬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 Recent posts